헌재 2010. 4. 27. 2010헌바163 [각하(4호)]
출처
헌법재판소
헌 법 재 판 소
제3지정재판부
결 정
사건 2010헌바163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1항 위헌소원
청구인 서○황
당해사건 대법원 2010카기137 위헌법률심판제청
주문
이 사건 심판청구를 각하한다.
이유
1. 사건의 개요
가. 청구인은 2010. 2. 26. 대법원에 소송절차정지 가처분신청을 하였으나 2010. 3. 16. 기각되자(2010카기93), 위 사건을 당해사건으로 하여 2010. 3. 22. 민사소송법 제224조 제1항 단서 중 “이유를 적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는 부분의 위헌 여부를 다투면서 동법원에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였다(대법원 2010카기137, 이하 ‘제1위헌제청신청 사건’이라고 한다).
나. 청구인은 제1위헌제청신청 사건을 당해사건을 하여 2010. 3. 23.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1항 규정 중 “..에 의한 결정” 부분이 국민주권의 원리에 위배되고,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대법원에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였으나(대법원 2010카기142, 이하 ‘제2위헌제청신청 사건’이라고 한다), 2010. 3. 30. 소권의 남용에 해당된다는 이유로 제1위헌제청신청 사건 및 제2위헌제청신청 사건이 모두 각하되자,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1항 중 ‘‘..에 의한 결정”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주장하며 2010. 4. 8. 이 사건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
2. 심판대상 조항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위헌여부 심판의 제청)
①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때에는 당해 사건을 담당하는 법원(군사법원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은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의한 결정으로 헌법재판소에 위헌여부의 심판을 제청한다.
3. 적법요건에 대한 판단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은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재판의 전제성이 충족되려면 위헌제청신청을 할 때 구체적 사건이 법원에 계속되어야 하고, 나아가 구체적인 사건이 법원에 계속중일 것이라는 요건은 당해 사건이 법원에 ‘적법’하게 계속될 것을 요하기 때문에, 만일 당해 사건이 부적법한 것이어서 법률의 위헌 여부를 따져 볼 필요조차 없이 각하를 면할 수 없는 것일 때에는 위헌여부심판의 제청신청은 적법요건인 재판의 전제성을 흠결한 것으로서 각하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없다(헌재 2005. 3. 31. 2003헌바113, 판례집 17-1, 413, 420 참조).
살피건대, 앞서 본 바와 같이 제2위헌제청신청 사건의 당해 사건인 제1위헌제청신청 사건이 소권 남용에 해당하여 부적법 각하를 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1위헌제청신청사건은 그 위헌제청신청 당시 이미 당해 사건인 대법원 2010카기93 사건이 2010. 3. 16.자 기각결정으로 종결되어 더 이상 법원에 계속중이지 않으므로, 재판의 전제성이 없어 부적법 각하를 면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제2위헌제청신청은 당해 사건인 제1위헌제청신청 사건이 부적법 각하를 면할 수 없는 것임이 명백하여 재판의 전제성을 흠결하였으므로 청구인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없다.
4. 결 론
그렇다면 이 사건 심판청구는 부적법하고 그 흠결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헌법재판소법 제72조 제3항 제4호에 따라 이를 각하하기로 하여 관여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2010. 4. 27.
재판장
재판관
김종대
김종대
재판관
조대현
조대현
재판관
이동흡
이동흡